반응형

케이엠더블유(032500), 코스닥

기업 개요

케이엠더블유(KMW)는 이동통신 기지국용 장비와 부품을 개발하고 생산하는 기업으로 1991년에 설립되어 1994년 법인전환, 200년 3월에 코스닥시장에 상장했다.

무선통신 기지국에 장착되는 각종 장비와 부품류를 생산하고 판매하는 RF사업, 스포츠조명, 실외조명, 실내조명 등을 생산하고 판매하는 LED사업을 함께 영위하고 있다. 특히 무선통신을 사용하는 휴대전화기 등에 다양한 통신영역을 커버하는 RF 부품이 들어있는데, 이 RF 부품은 무선단말기와 기지국, 다른 단말기 등을 연결하는 역할을 하며, 이 RF 부품이 케이엠더블유의 주력 제품이기도 하다.

 

재무제표

케이엠더블유(032500) 재무제표
케이엠더블유(032500) 재무제표

케이엠더블유의 2020년 실적은 이전 연도에 비해 좋지 못하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 속에 국내외 통신 장비 투자가 지연되면서 실적 부진이 이어졌기 때문이다. 17년부터 19년도까지 지속적으로 실적 상승을 거두었던 케이엠더블유는 2020년 3분기 기준,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약 53% 하락한 2793억원, 영업이익은 약 75% 하락한 1381억원을 기록했다. 

케이엠더블유는 지난해 매출액 기준으로 라디오 시스템 매출 비중이 62%로 가장 높았고, 필터(23%), 안테나(12%) 등이 그 뒤를 이으며 매출액을 구성했다. 

컨센서스

케이엠더블유(032500) 컨센서스
케이엠더블유(032500) 매출액 컨센서스
케이엠더블유(032500) 영업이익 컨센서스

올해 코로나19 여파 속에 부진을 면치 못했지만 5G 관련주로 엮이는 케이엠더블유는 내년부터 다시금 반등할 수 있을 것이란 전망이 지배적이다. 우선 내년 북미 시장을 중심으로 5G 투자가 본격화될 것으로 보이며, 통신장비 업체 중 유일하게 5G 라디오 시스템을 공급하는 케이엠더블유의 입장에선 글로벌 고객사 제품 수주 가능성도 높아진다. 물론 올해 다소 일본, 미국 등에서 매출이 감소하며 실적 타격을 받았지만 향후 이들 국가를 비롯해 인도 등 다양한 해외 시장으로의 수출이 다시금 증대될 것으로 보인다. 케이엠더블유의 주요 고객이었던 노키아가 모델을 변경하며 타격을 받은 점은 가장 아쉽기도 하다.

 

국내에서도 통신 3사가 5G 인프라망 구축을 본격화하고 있기 때문에 케이엠더블유의 실적 역시 개선될 여지가 크다. 컨센서스를 보면 매출액은 2020년 대비 2021년에 114.49% 증가한 9879억원, 영업이익은 222.97% 상승한 2158억원으로 전망하고 있다. 국내 통신사들이 전국에 5G 구축망 구축을 완료할 것이라고 보는 2022년에도 케이엠더블유의 지속적인 실적 상승세를 예측하는 증권가의 전망이 이어지고 있다.

 

5G 관련주 중 가장 대장주 격으로 손꼽히는 케이엠더블유는 올해 실적은 저조했으나 내년부터 다시금 5G 산업이 부각되며 관련 수혜주로 더욱 주목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이미 지난 11월부터 주가가 다시금 상승 추세로 전환되며 본격적인 회복장세를 거듭할 수 있을 것이란 기대감이 나오고 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