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기업의 가치와 기업의 주가가 적당한지를 평가하는 지표는 여러 가지가 존재한다. 그 중에서도 주식투자를 하는 이들이라면 꼭 살펴봐야 하는 지표가 있는데, 바로 주당순이익(Earning Per Share, EPS) 이다.

주당순이익(Earning Per Share) 란?

주당순이익(Earning per share)이란?

주당순이익(EPS)은 기업의 당기순이익을 발행 주식수로 나눈 것을 의미한다. 즉, 해당 기업의 주식 1주가 1년간 벌어들인 순이익을 의미하는 것으로 기업 간 수익성을 비교하는데 가장 용이한 투자 지표 중 하나이다. 특히나 주식 1주의 가치를 가지고 그 수익성을 비교하는 지표이기 때문에 상장 기업의 자본 규모에 상관없이 기업 간 수익성을 비교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용이한 자료이다.

주당순이익의 종류로는 기본주당순이익과 희석주당순이익 2가지가 있다는 점만 참고!

 

주당순이익(Earning per share) 공식

주당순이익은 기업의 세후순이익을 유통 주식수로 나눈 값이다. 이때 기업이 우선주를 가지고 있을 경우에는 우선주는 제외하고 주식수를 계산한다.

주당순이익(EPS) = 당기순이익 / 발행 주식수

당기순이익은 기업이 벌어들인 전체 이익을 뜻하기 때문에 주당순이익은 주식 1주가 벌어들인 수익을 보여주는 지표다.

 

주당순이익(Earning per share)의 의미

주당순이익이 높다는 것은 그만큼 기업이 벌어들인 이익이 높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경영 실적이 매우 좋다는 점을 의미한다. 따라서 EPS가 높다면 그에 따른 배당률 역시 높게 책정될 수 있다는 기대감을 가지게 된다.

하지만 기업이 증자를 통한 주식수가 많아지게 된다면 그에 따라 1주당 벌어들이는 순이익이 작아지기 때문에 주당순이익(EPS)는 그 가치가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투자자가 흔히 기업 가치를 평가할 때 재무제표를 들여다보고, 이 중에서 매출액, 영업이익, 당기순이익과 같은 기본적인 지표만을 확인하는 경우가 있는데, 투자를 앞두고서는 단순한 당기순이익의 절대값이 아닌 주당순이익을 꼭 챙겨봐야 할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앞서 언급했듯이 당기순이익이 높더라도 해당 기업이 같은 기간 유상증자나 전환사채 등으로 주식수를 늘렸다면 주당 이익은 감도하게 되기 때문!

 

주식 투자를 앞둔 투자자라면 자기자본이익률(ROE)에 이어서 주당순이익(EPS)도 꼭 챙겨서 확인하길!!

 

soontaelog.tistory.com/2

 

[주식공부] 자기자본이익률(ROE) 란?

기업은 제품이나 서비스를 생산하고 판매함으로써 이익을 만든다. 기업이 이익을 만들 수 있는 힘을 총자산수익률(ROA : Return on assets)로 나타내고 '(이익/총자산) * 100'으로 계산한다. 총자산수익

soontaelog.tistory.com

 

반응형
반응형

지난주 셀트리온의 3분기 실적발표에 이어 16일(월), 셀트리온헬스케어(091990)의 실적 발표가 이어졌다. 월요일 장마감 후 발표된 셀트리온헬스케어의 3분기 실적은 '어닝 서프라이즈' 격의 역대 최대 실적을 달성한 것으로 발표됐다.

 

3분기 역대 최대 실적 달성, 순이익만 861억원

셀트리온헬스케어는 3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4634억원, 영업이익은 1277억원, 당기순이익은 861억원을 기록했다고 공시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액은 64%, 영업이익은 500%, 순이익은 753%가 증가한 어마어마한 수치의 실적이다. 또한 지난 2분기에 비해서도 매출액은 10% 증가, 영업이익은 47%, 당기순이익은 86%가 증가하였고 3분기 누적으로는 매출액 1조 2406억원을 달성하며 이미 2019년의 연매출인 1조 1009억원을 훨씬 뛰어넘었다.

그야말로 분기 사상 최대 실적을 달성하는 '어닝 서프라이즈'를 기록한 셈!

 

바이오시밀러 제품 '트룩시마' 실적 성장 핵심 요인

셀트리온헬스케어의 이번 실적의 핵심 요인으로는 3대 바이오시밀러 제품인 '램시마(성분명 인플릭시맙)', '트룩시마(성분명 리툭시맙)', '허쥬마(성분명 트라스투주맙)'가 크게 견인한 것으로 보인다.

이미 유럽 내에서 안정적인 처방이 이뤄지며 점유율을 높여가고 있고, 세계 최대 시장 미국에서도 시장을 확대해나가고 있기에 이번 호실적에 힘을 실어주었다. 여기에 아시아, 중남미 등 성장시장에서도 꾸준한 매출 증가 역시 주요한 요인이라고 한다. 특히 일본에서는 '허쥬마'가 일본 트라스투주맙 시장의 90%를 차지하는 유방안 3주요법 허가 이후 1년 만인 올 3분기에만 시장점유율은 39% 달성하는 등 인지도가 높아지고 있는 점 역시 한몫을 한 것으로 보인다.

 

코로나19 경제 타격도 없는 셀트리온헬스케어, 오히려 기회?

셀트리온헬스케어(091990) 차트

사실 셀트리온헬스케어는 올해 초 무섭게 몰아닥쳤던 코로나19 바이러스의 경제적 타격 속에서도 크게 동요되지 않았다. 지난해 8월 26일 저점을 찍은 이후부터 꾸준히 우상향 주가를 유지 중이다.

지난 6월 23일 최고점인 119,300원을 터치하며 연고점을 달성한 이후 소폭 하락 추세이긴 하지만 이번 실적 발표를 기점으로 다시금 상승장을 이끌어갈 수 있는 원동력을 확보한 것으로 보인다.

 

셀트리온헬스케어(091990) 종목별투자자

셀트리온헬스케어의 최근 외국인 수급이 좋아보인다. 또한 가장 최근에는 기관, 금융투자, 연기금 등의 수급도 크게 들어오는 걸 확인할 수 있다.

증권사별로 책정한 셀트리온헬스케어의 적정 주가는 적게는 130,000원, 많게는 150,000원으로 보고 있다. 현재 주가가 10만원에도 훨씬 못미치는 상황이기에 실적 발표 이후의 주가 차트가 다시금 좋은 방향성을 잡지 않을까 싶다.

반응형
반응형

코로나19 재확산세가 심상치 않다.

2차 팬데믹에 대한 경각심에 대해서 재차 강조해도 지나치치 않을 정도로 전 세계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에 시달리고 있다.

미국 대선 결과에 대한 불확실성 해소와 화이자 등 코로나19 치료제 개발에 대한 기대감으로 지난 한주간 전 세계 증시가 상승세, 혹은 건강한 횡보세를 거듭하긴 했지만, 현 시점에 증시 악영향 요소는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심각한 재확산세, 그리고 각종 봉쇄령과 실물 경제 타격이 주요할 것으로 보인다.

 

이럴 때일수록 개별 종목의 실적에 따른 보수적 투자가 힘을 발휘할 수 있을 때!

이번 한주간의 3분기 국내기업 실적발표 일정은 아래와 같다.

 

11월 16일(월)

셀트리온헬스케어(091990) - 3분기 실적발표

엔씨소프트(036570) - 3분기 실적발표

삼성화재(000810) - 3분기 실적발표

에스엠(041510) - 3분기 실적발표

 

11월 17일(화)

팬오션(028670) - 3분기 실적발표

반응형
반응형

국내 제약-바이오 업계의 대표적인 기업 셀트리온(068270)이 지난 2분기에 이어 3분기에도 역대 분기 사상 최고 실적을 기록했다고 9일 공시했다.

 

셀트리온(068270)

3분기 영업이익률 44.7% 기록, 분기 사상 최대 매출액과 영업이익

셀트리온은 연결 기준 3분기 매출액이 전년 동기 대비 90% 늘어난 5,488억원, 영업이익은 138% 증가한 2,453억원을 달성하며 분기 사상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 영업이익률은 무려 44.7%에 달한다. 셀트리온은 이번 실적까지 더해 지난 1분기 제약-바이오 업계에서 처음 매출 1위에 오른 데 이어 2분기, 3분기에도 그 자리를 굳건히 지켜내고 있다.

셀트리온의 이와 같은 호실적은 바이오의약품 시장 확대와 위탁생산(CMO) 매출 증대를 통해서 이뤄진 것으로 보인다. 특히 바이오시밀러(바이오의약품 복제약) 3총사인 램시마, 트룩시마, 허쥬마는 유럽시장에서 안정적으로 점유율을 유지하고 있으며, 미국 시장에서도 성공적으로 진출해 그 점유율을 높여가고 있다.

위탁생산(CMO)에서는 3분기 테바의 편두통 치료제 '아조비'의 CMO 공급계약 총액 1,156억원 중 465억원을 달성하며 매출이 크게 증대됐다. 테바는 최근 3분기 실적 발표에서 '아조비'가 독일 등에서 시장 진입에 속도를 내고 있다고 전하기도 했다. 유럽과 미국 등지에서 공고히 점유율을 차지해간다면 향후에도 좋은 실적이 기대된다.

코로나19 진단키트 개발, 코로나19 항체 치료제 'CT-P59'도 개발 중

셀트리온은 코로나19 항체 치료제인 'CT-P59' 개발을 순조롭게 이어가고 있다. 경증 환자 대상 임상 1상에서 효과를 확인했으며 임상2상, 3상 결과를 올해 안으로 발표할 계획이다. 또한 진단키트 공급을 지속적으로 이어가며 차세대 성장 동력인 후속 바이오시밀러 파이프라인 개발에도 속도를 내 중장기적으로 지속적인 성장을 이뤄가겠다는 포부를 밝힌 바 있다.

 

3분기 국내 주요 제약-바이오 업계 실적

기업 매출액(억원) 전년 동기 대비(%) 영업이익(억원) 전년 동기 대비(%) 비고
셀트리온 5,488 89.90% 2,453 137.8%  
유한양행 4,166 9.60% 247 143.1%  
종근당 3,575 27.50% 485 139.5%  
한미약품 2,669 0.50% -323 적자 전환  
대웅제약 2,489 2.70% 703 150.8%  
GC녹십자 4,196 14.50% 507 37.1%  
삼성바이오로직스 2,746 48.57% 565 139.46%  

자료 출처 :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반응형
반응형

셀트리온(068270), 코스피

지난 3일, 한국거래소 공매도 종합 포털의 자료에 따르면 셀트리온(068270)의 10월 30일자 공매도 잔고수량이 583만 6328주로 시가 기준 1조 4065억원을 기록했다고 한다. 전일 대비 공매도 잔고수량이 233만 9613주, 공매도 잔고금액만 6619억 5802만 5000원이 줄어든 셈. 지난 30일 하루에만 공매도 잔고수량의 28.61%가 순식간에 해소되며 숏커버링 현상이 나타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숏커버링(Short Covering) 현상

숏커버링이란, 주식시장에서 공매도한 주식을 되갚기 위해 다시 사는 환매수를 의미한다. 보통 공매도를 하게 되는 건 주가가 하락할 경우를 예상해 미리 주식을 빌려서 팔고 싼 가격에 주식을 재매수해 차익을 실현하고자 함인데, 예상과 다르게 주가가 상승할 때는 손실을 줄이기 위해 다시 주식을 매수하게 된다. 이때 일시적으로 주가가 상승하게 되는데, 숏커버링 효과란 위와 같은 상황으로 수급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단기적으로 상승세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류된다.

 

 

셀트리온은 공매도 급감에 따라 3일 하루에만 14,500원(5.93%) 주가가 상승했다. 이러한 주가 상승세가 숏커버링 효과의 신호탄이라고 분석되기도 하는데, 차후 발표될 3분기 실적 발표에서도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램시마와 트룩시마 점유율 확대 등에 따른 실적 성장 역시 예상되고 있기 때문에 주가 상승 여력이 충분한 것으로 보여진다.

 

 

반응형
반응형

코로나19 재확산 및 봉쇄령 조치가 강화되고 있어 경제적 타격이 심각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미국은 대선(11월 3일)이 코앞으로 다가오며 역시 국내 증시에 부담감을 안겨줄 요소로 충분하다.

이런 불안감에 따른 증시 변동성이 클 것으로 예상될 때 더욱 주목해야 하는 부분이 바로 개별 종목들의 실적발표!

11월 첫째주에 발표될 국내 주요 기업들의 실적발표 일정을 살펴보자.

 

11월 2일(월)

LS ELECTRIC(010120) - 3분기 실적발표

DGB금융지주(139130) - 3분기 실적발표

BNK금융지주(138930) - 3분기 실적발표

교보증권(030610) - 3분기 실적발표

현대모비스(012330) - 3분기 실적발표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161390) - 3분기 실적발표

SK렌터카(068400) - 3분기 잠정실적발표

 

11월 3일(화)

SKC(011790) - 3분기 실적발표

 

 

11월 4일(수)

SK하이닉스(000660) - 3분기 실적발표

카카오게임즈(293490) - 3분기 실적발표

에코프로(086520) - 3분기 실적발표

에코프로비엠(247540) - 3분기 실적발표

롯데정밀화학(004000) - 3분기 실적발표

팬오션(028670) - 3분기 실적발표

스카이라이프(053210) - 3분기 잠정실적발표

 

11월 5일(목)

카카오(035720) - 3분기 실적발표

SK텔레콤(017670) - 3분기 실적발표

LG유플러스(032640) - 3분기 실적발표

스튜디오드래곤(253450) - 3분기 실적발표

CJ ENM(035760) - 3분기 실적발표

BGF(027410) - 3분기 잠정실적발표

BGF리테일(282330) - 3분기 잠정실적발표

 

11월 6일(금)

CJ대한통운(000120) - 3분기 실적발표

롯데케미칼(011170) - 3분기 실적발표

반응형
반응형

국내 증시에서 개별주 투자 시 중요하게 고려해야 하는 요소 중 하나가 바로 '실적발표'

현재 국내 기업들의 3분기 실적발표 및 잠정실적발표가 지속적으로 이어지고 있다.

이번 한 주간의 실적발표 일정도 체크해보면서 투자 방향을 정하는 것도 좋은 투자 방법!

 

10월 26일(월)

삼성전기(009150) - 3분기 실적발표

PI첨단소재(178920) - 3분기 실적발표

현대차(005380) - 3분기 실적발표

기아차(000270) - 3분기 실적발표

서울반도체(046890) - 3분기 실적발표

PI첨단소재(178920) - 3분기 실적발표

현대글로비스(086280) - 3분기 실적발표

레드캡투어(038390) - 3분기 실적발표

우리금융지주(316140) - 3분기 잠정실적 발표

 

10월 27일(화)

삼성SDI(006400) - 3분기 실적발표

삼성에스디에스(018260) - 3분기 실적발표

현대제철(004020) - 3분기 실적발표

신한지주(055550) - 3분기 실적발표

삼성물산(028260) - 3분기 잠정실적발표

기업은행(024110) - 3분기 잠정실적발표

GS리테일(007070) - 3분기 잠정실적발표

제주은행(006220) - 3분기 잠정실적발표

 

10월 28일(수)

서울바이오시스(092190) - 3분기 실적발표

OCI(010060) - 3분기 실적발표

JB금융지주(175330) - 3분기 실적발표

더블유게임즈(192080) - 3분기 실적발표

아모레퍼시픽(090430) - 3분기 잠정실적발표

LG이노텍(011070) - 3분기 잠정실적발표

아모레G(002790) - 3분기 잠정실적발표

 

10월 29일(목)

삼성전자(005930) - 3분기 실적발표

NAVER(035420) - 3분기 실적발표

현대모비스(012330) - 3분기 실적발표

현대건설기계(267270) - 3분기 실적발표

BNK금융지주(138930) - 3분기 실적발표

LS ELECTRIC(010120) - 3분기 잠정실적발표

삼성엔지니어링(028050) - 3분기 잠정실적발표

이노션(214320) - 3분기 잠정실적발표

 

10월 30일(금)

삼성중공업 - 3분기 실적발표

LG전자 - 3분기 실적발표

SK이노베이션(096770) - 3분기 실적발표

아프리카TV(067160) - 3분기 실적발표

LG상사(001120) - 3분기 잠정실적발표

반응형
반응형

기업은 제품이나 서비스를 생산하고 판매함으로써 이익을 만든다. 기업이 이익을 만들 수 있는 힘을 총자산수익률(ROA : Return on assets)로 나타내고 '(이익/총자산) * 100'으로 계산한다. 총자산수익률에는 차입금과 자기자본이 모두 포함되어 있고, 투자자의 입장에서는 기업이 자기자본으로 얼마만큼 수익을 내고 있는지를 확인하는 게 가장 중요하다. 이때 필요한 가장 중요한 개념이 바로 '자기자본이익율(ROE : Return on equity)'이다.

 

자기자본이익률(Return on equity)이란?

 

자기자본이익률(Return on equity)이란?

자기자본이익률(ROE)는 기업의 순이익을 자기자본으로 나누어 계산한 재무 성과의 척도를 의미한다. 주주 입장에서 내가 투자한 돈으로 회사가 돈을 얼마나 벌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것으로 주주의 자본은 회사 자산에서 부채를 뺀값과 같기 때문에 ROE는 순자산 수익률로 간주된다. ROE는 기업 경영진이 회사 자산을 사용하여 수익을 창출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척도이기도 하다.

 

자기자본이익률(Return on equity) 공식

자기자본이익률은 당기순이익을 평균 자기자본으로 나누어 구할 수 있다.

 

자기자본이익률(ROE) = (당기순이익 / 평균 자기자본) * 100

 

여기서 평균 자기자본은 전기 자기자본과 당기 자기자본을 합해 2로 나누어 산출한다. 순이익은 회사가 주어진 기간 동안 만들어내는 소득을 말한다. 

 

자기자본이익률(Return on equity)의 의미

자기자본이익률이 높은 기업이라는 것은 기업의 가치가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향후 ROE가 높아질 것으로 전망한다는 건 기업의 가치가 올라갈 것이라는 의미로, 즉 주가가 상승할 수 있다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ROE가 높은 기업에 투자하는 것은 은행에 예금하는 것보다 훨씬 유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기자본 대비 15% 이상 이익을 낸 기업 A는 투자자들에게 수익을 배당할 것이고, 남은 수익금은 다시 기업을 위해 재투자하거나 사내 잉여금으로 남겨둘 것이다. 이는 곧 기업의 가치가 올라간다는 것이고 주가는 상승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주식투자를 할 때 투자 기업을 선정하는 중요한 지표 중 하나로 ROE를 꼭 체크해보는 것이 필수적이다.

 

자기자본이익률(Return on equity)의 한계

자기자본이익률이 높다는 게 항상 긍정적인 것만은 아니다. 지나치게 큰 ROE는 일관성 없는 수익일 수도 있고 과도한 부채와 같은 여러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순손실 또는 자기자본이 마이너스인 회사의 마이너스 ROE는 회사를 분석하는 데 사용할 수 없고, ROE가 플러스인 회사와 비교하는 데에도 역시 사용할 수 없다. ROE는 결국 과거 지표이기 때문에 과거 자본과 과거 실적을 토대로 만들어진 경영지표로써, 미래가치를 예측하기에는 한계가 있기에 기업의 영업환경이 바뀔 때마다 정기적으로 기업 공시를 확인하며 예상 ROE 수치 변동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반응형
반응형

 

공매도(空賣渡, Short Stock Selling) 란?

공매도(空賣渡)의 의미

'공매도(Short Stock Selling)'란 주식을 보유하지 않은 투자자가 주식을 파는 것을 의미한다.

공매도의 '공'이 빌 공(空)을 의미하는 것으로 '없는 것을 판다'라는 개념으로 이해하면 된다.

주식 시장에서 말하는 공매도는 주로 가격이 하락하는 주식을 이용해 돈을 버는 한 가지 방법으로 통용되고 있다. 투자자들은 주식의 가격이 하락하는 것에 베팅하여 주식을 빌린 뒤 매도, 더 낮은 가격으로 떨어지면 다시 매수한 뒤 대출 기관에게 돌려주는 형태로 판매 가격과 구매 가격 간의 차익을 통해 수익을 거두게 된다.

 

공매도 예시

예를 들어, 투자자가 Tesla(TSLA) 주식이 주당 $600로 과대평가되어 조만간 가격이 하락할 것이라고 생각하는 경우 투자자는 중개인으로부터 테슬라 주식 10주를 빌린 뒤 시장에 판매한다. 1주당 600달러였던 주가가 500달러까지 떨어지면 해당 가격에 주식 10주를 다시 매수하고, 중개인에게 이를 반환한다. 그렇게 되면 총 $1,000($6,000 - $5,000)의 수익을 거두게 된다. 하지만 만약에 테슬라 주식이 주당 $700로 상승하게 된다면 투자자는 손실을 보게 되는 위험성도 가지게 된다.

 

공매도 종류

공매도에는 크게 2가지 종류가 있다. 하나는 '차입공매도'이며, 차입공매도는 주식을 누군가로부터 빌린 뒤 이를 매도한 후 다시 주식을 사서 갚는 걸 의미한다. 또 다른 방법은 '무차입 공매도'를 말하며, 차입공매도와는 반대로 주식을 빌리지도 않고 공매도를 먼저 한 뒤에 주식을 되갚는 걸 의미한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차입공매도는 허용되고 무차입 공매도는 불법이다. 우리나라에서 발생하는 공매도는 대부분 기관이나 외국인들이 주체이다. 개인투자자들 역시 '대차거래'나 '주식대여거래서비스'를 통해 공매도를 할 수 있지만 수수료율, 세금이 워낙 높기 때문에 활성화되어 있지 않다.

 

공매도 위험성

공매도는 하락하거나 중립적인 시장에서 투자자에게 수익을 올릴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지만 무한한 손실의 위험이 있기 때문에 충분한 지식과 경험을 겸비한 투자자만 시도하길 권고하는 바다. 물론 단기적인 관점에서 주식이 하락할 가능성이 있다고 확신한다면 공매도는 의미가 있지만 장기적인 관점에서 좋은 종목(기업)은 주식을 매수하여 주가 상승을 도모하는 것이 주가 하락을 노린 시장 공매도보다 훨씬 덜 위험하다. 

 

현재 우리나라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팬데믹에 따른 경제 여파로 주식 시장 안정화를 위해 공매도 금지 연장 조치를 취하고 있다. 지난 3월부터 6개월간 진행된 공매도 금지 기간이 추가로 6개월 연장되어 내년 3월 15일까지 유효하다. 개인투자자들에겐 가장 큰 호재이자 현재 풍부한 유동성을 자랑하는 국내 증시에 주가 상승을 견인할 가장 큰 촉매제로 전망하고 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