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셀트리온제약(068760), 코스닥

기업 개요

셀트리온제약의 첫 시작은 1976년 한서약품상사에서 출발한다. 약 3,800여개의 거래선을 보유한 중견제약사로 발돋움했던 한서약품상사가 2009년 (주)셀트리온의 계열회사가 되면서 셀트리온제약으로 탄생했다.

셀트리온과의 합병을 통해 사업 다각화 및 글로벌 제약회사로 발전하고자 글로벌 네트워크를 활용해 전략적으로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다. 또한 충북 진천과 오창에 생산 및 품질 관리시설을 갖췄고, 40여개의 전문의약품을 생산 중이다.

셀트리온제약의 주력 제품으로는 '고덱스'를 꼽을 수 있다. 기존 간질환치료제인 헤파디프와 DDB제제의 배합 비율을 찾아 5년의 노력 끝에 개발에 성공했으며 2001년부터 판매를 시작했다. 2019년 12월 기준으로 고덱스는 셀트리온제약 매출의 약 37.32%를 차지하고 있다. 

재무제표

셀트리온제약(068760) 재무제표
셀트리온제약(068760) 재무제표

셀트리온제약의 상반기(1, 2분기) 누적 매출액은 907억원 8천만원, 영업이익은 101억 3천만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1.7%, 85.2% 증가했다. 최근 3년간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올해에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에도 불구하고 기존부터 영위해오던 각종 케미컬의약품 및 바이오시밀러 사업부가 고른 호실적을 달성하며 재무제표도 굉장히 훌륭한 모습이다.

앞서 언급했던 셀트리온제약의 대표 제품인 고덱스가 지난 2분기에만 167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고 한다. 반기 누적 매출은 약 347억원으로 전년도익 대비 14.5% 증가한 실적이기도 하다. 또한 셀트리온의 대표적인 바이오시밀러 제품들인 자가면역치료제 램시마, 혈액암 치료제 트룩시마, 유방암/위암 치료제 허쥬마 등이 모두 2분기에만 전년 동기 대비 두 자릿수 매출 성장을 보이기도 했다. 

셀트리온제약(068760) 매출비중 추이

2020년 11월 25일 기준 셀트리온제약 주가 역대 최고가

25일(화) 기준으로, 국내 증시에서 가장 '핫' 했던 종목은 바로 셀트리온 그룹 3사, 바로 셀트리온/셀트리온헬스케어/셀트리온제약이었다. 그 중에서도 단연 으뜸은 코스닥 시장의 셀트리온제약으로 장중 상한가인 17만 8400원까지 치솟으며 역대 최고가를 경신하기도 했다. 종가 기준으로는 25.27% 상승했으며 셀트리온(9.45%), 셀트리온헬스케어(8.32%) 상승한 데에 비해 훨씬 높은 상승폭을 자랑했다.

셀트리온헬스케어는 셀트리온 제품의 해외 판매를, 셀트리온제약은 국내 판매를 맡으며 그 점유율을 지속적으로 늘려가고 있는데, 내년 초 국내에 코로나19 치료제가 시판될 것이라는 기대감 때문에 셀트리온제약 주가가 오늘 하루 가장 많은 상승폭을 자랑한 게 아닌가 싶다.

 

실제 셀트리온은 코로나19 치료제 개발에 대한 기대감이 가장 높은 기업이다. 이 기대감으로 그룹사 전체 주가가 크게 움직이고 있는데, 주목할 점은 이 기대감은 이제 시작에 불과하다는 점!

셀트리온제약(068760) 주봉 차트

오늘 하루 어마어마한 거래량이 터지긴 했지만, 주봉 차트상으로는 아직 이전에 큰 거래량이 터졌던 때에 비하면 절반 수준에도 미치지 못한다. 하지만 이런 거래량만으로도 오늘 하루 52주 신고가, 역대 최대 주가를 달성했다는 점은 굉장히 고무적인 일!

 

현재 셀트리온은 코로나19 치료제 'CT-P59'의 임상 2, 3상이 아주 순조롭게 진행 중이다. 여기에 셀트리온 그룹의 3사 합병 이슈까지, 셀트리온이 당분간 안겨줄 수 있는 기대감은 어마어마한 파급력을 자랑한다. 25일 하루 주가 상승으로 국내 코스닥 시총 순위 1위(셀트리온헬스케어), 2위(셀트리온제약)을 휩쓸어버린 셀트리온 그룹주들의 강세 소식에 셀트리온제약에 관심을 가질 수밖에 없다.

반응형
반응형

국내 제약-바이오 업계의 대표적인 기업 셀트리온(068270)이 지난 2분기에 이어 3분기에도 역대 분기 사상 최고 실적을 기록했다고 9일 공시했다.

 

셀트리온(068270)

3분기 영업이익률 44.7% 기록, 분기 사상 최대 매출액과 영업이익

셀트리온은 연결 기준 3분기 매출액이 전년 동기 대비 90% 늘어난 5,488억원, 영업이익은 138% 증가한 2,453억원을 달성하며 분기 사상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 영업이익률은 무려 44.7%에 달한다. 셀트리온은 이번 실적까지 더해 지난 1분기 제약-바이오 업계에서 처음 매출 1위에 오른 데 이어 2분기, 3분기에도 그 자리를 굳건히 지켜내고 있다.

셀트리온의 이와 같은 호실적은 바이오의약품 시장 확대와 위탁생산(CMO) 매출 증대를 통해서 이뤄진 것으로 보인다. 특히 바이오시밀러(바이오의약품 복제약) 3총사인 램시마, 트룩시마, 허쥬마는 유럽시장에서 안정적으로 점유율을 유지하고 있으며, 미국 시장에서도 성공적으로 진출해 그 점유율을 높여가고 있다.

위탁생산(CMO)에서는 3분기 테바의 편두통 치료제 '아조비'의 CMO 공급계약 총액 1,156억원 중 465억원을 달성하며 매출이 크게 증대됐다. 테바는 최근 3분기 실적 발표에서 '아조비'가 독일 등에서 시장 진입에 속도를 내고 있다고 전하기도 했다. 유럽과 미국 등지에서 공고히 점유율을 차지해간다면 향후에도 좋은 실적이 기대된다.

코로나19 진단키트 개발, 코로나19 항체 치료제 'CT-P59'도 개발 중

셀트리온은 코로나19 항체 치료제인 'CT-P59' 개발을 순조롭게 이어가고 있다. 경증 환자 대상 임상 1상에서 효과를 확인했으며 임상2상, 3상 결과를 올해 안으로 발표할 계획이다. 또한 진단키트 공급을 지속적으로 이어가며 차세대 성장 동력인 후속 바이오시밀러 파이프라인 개발에도 속도를 내 중장기적으로 지속적인 성장을 이뤄가겠다는 포부를 밝힌 바 있다.

 

3분기 국내 주요 제약-바이오 업계 실적

기업 매출액(억원) 전년 동기 대비(%) 영업이익(억원) 전년 동기 대비(%) 비고
셀트리온 5,488 89.90% 2,453 137.8%  
유한양행 4,166 9.60% 247 143.1%  
종근당 3,575 27.50% 485 139.5%  
한미약품 2,669 0.50% -323 적자 전환  
대웅제약 2,489 2.70% 703 150.8%  
GC녹십자 4,196 14.50% 507 37.1%  
삼성바이오로직스 2,746 48.57% 565 139.46%  

자료 출처 :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반응형

+ Recent posts